2019. 6. 17. 14:51ㆍ발원문정리집
■ 한글 반야심경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온갖 고통에서 건너느니라
사리자여!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니 수상행식도 그러하니라
사리자여! 모든 법은 공하여 나지도 멸하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느니라
그러므로 공 가운데는 색이 없고 수상행식도 없으며
안이비설신의도 없고 색성향미촉법도 없으며
눈의 경계도 의식의 경계까지도 없고, 무명도 무명이 다함까지도 없으며
늙고 죽음도 늙고 죽음이 다함까지도 없고, 고집멸도도 없으며 지혜도 얻음도 없느니라
얻을 것이 없는 까닭에 보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어서
뒤바뀐 헛된 생각을 멀리 벗어나 완전한 열반에 들어가며
삼세의 모든 부처님도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최상의 깨달음을 얻느니라
반야바라밀다는 가장 신비하고 밝은 주문이며
위없는 주문이며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주문이니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음을 알지니라
이제 반야바라밀다주를 말하리라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그 뜻은 ‘지혜의 빛에 의해서 열반의 완성된 경지에 이르는 마음의 경전’으로 풀이할 수 있다. ‘심(心)’은 일반적으로 심장(心臟)으로 번역되는데, 이 경전이 크고 넓은 반야계(般若系) 여러 경전의 정수를 뽑아내어 응축한 것이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발원문정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반야바라밀경찬(金剛般若波羅密經纂) (0) | 2019.06.05 |
---|---|
금강반야바라밀경찬 (0) | 2018.11.22 |
부처님오신날 봉축발원문 (0) | 2018.05.15 |
불기 2561년 부처님오신날 발원문 (0) | 2017.04.19 |
정월대보름방생발원문 (0) | 2017.02.06 |